기재부 “소비쿠폰 계속 진행··· 코로나 확산 심화되면 재검토”
신종 코로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3차 대규모 재확산이 우려되는 가운데 정부 내에서도 방역 대응이 엇갈려 혼선을 주고 있는 모습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0일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대면 활동 자제를 재차 당부했다. 정 총리가 이례적으로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호소한 것은 그만큼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하다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 총리는 “국민 여러분, 그 어느 때보다 우리 모두의 실천이 중요하다”며 “연말을 맞아 계획하고 있는 각종 모임을 최대한 자제하고, 필수적인 활동 이외에는 가급적 집안에 머물러 달라”고 당부했다.
정 총리는 이어 “6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겨울철 건강관리에 유의하면서 불필요한 외출과 만남을 최소화해 주시기 바란다”며 “직장인들은 송년회, 회식 모임 등을 연기하거나 취소해 주시고 기업에서도 재택근무 등을 통해 일터 방역에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무증상 감염이 많은 젊은 층의 특성상 확산의 범위와 속도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학업 등 필수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대면 활동을 자제해 주시기 바란다”고 부탁했다.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 19 신규 확진자는 363명 늘어 누적 3만17명이 됐다. 전날(343명)보다 늘어나며 사흘 연속 300명대다.
하지만 기획재정부는 소비쿠폰을 계속 진행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국민 생활 방역 대응에 혼선이 우려된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은 지난 19일 “거리두기 1.5단계에서는 철저한 방역조치 아래 소비쿠폰 사업이 지속될 것”이라며 “확산세가 심해진다면 그때 가서 부처들과 함께 다시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무착륙 국제 관광비행 상품까지 추진하면서 대규모 집단감염 위험을 키운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의 여파로 고사 위기에 처한 면세점과 항공 업계를 돕기 위해서, 어디에 착륙하지 않고 비행기만 타고 돌아오는 이른바 ‘무착륙 비행’에도 면세품 구입을 허용 하기로 했다.